싫어도 20대 넘어가면 알아놔야할 것들
가족이 치매에 걸렸을 때 대처하는 방법
조문관련

장례절차
* 장례식장;
우선 가장 먼저 장례식장 예약부터 해야 하는데, 보통 병원에서 돌아가시면 그 병원의 장례식장에서 하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인것 같다.
장례식장 예약시에 장례지도사와 화장시설 등을 함께 잡아주는 경우가 많다고 하는데,
장례식장에서 일하시는 분이 어느 정도는 다 절차대로 설명도 다 잘 해시고, 유족들은 보통 “결정” 하기만 하면 되는것들이 많았다.
영정 사진도 준비 하는것이 좋고,
장지도 집안 어른들과 함께 상의 해야한다.
“e 하늘 장사정보 시스템” 이라는 사이트에서 화장 예약하고 장례식장 검색등 온라인으로 간편히 확인 가능하다고 하니 참고.
보통 빈소를 갖추고 조문을 받을 때 까지는 몇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부고 문자를 먼저 보내 버리면 가까운데 계시던 분이 먼저 찾아오시는 경우도 발생하기 때문에 장례 지도사와 협의 후 빈소가 갖추어 진 다음에 전하는 것이 좋다고..
사망 사실을 안 날부터 1개월 이내에 신고하여야 하고 1개월이 넘으면 최대 5만원의 과태료 부과.
사망 진단서(사망진단 내린 의료기관에서 발급) 혹은 사체 검안서(자택 또는 요양원에서 사망시 112에 신고후 가까운 병원으로 이동해 의사를 통해 사망진단을 받은 후 발급), 신고자의 신분증, 고인의 가족관계증명서
이 서류들은 장례식장이나 사망신고 등에 쓰이는 곳이 많기 때문에 10부 이상씩 미리미리 넉넉하게 받아 두는것이 좋다
보통 가까운 사이는 따로 전화를 드리기도 하지만, 인원이 많거나 전화가 여의치 않을때는 이런 문자도 유용
돌아가신 분의 금융거래내역, 토지, 자동차, 세금 등의 재산 정보를 한번에 확인 가능한 온라인 서비스라고 한다.
사망일이 속한 달의 말일부터 1년 이내에 신청해야 하고,
상속과 상속 포기 등도 유족들과 연관이 크기 때문에 반드시 잘 알아보고 진행해야 할 것 같다
휴대폰과 가스, 전기, 수도, 자동차 등기 이전 혹은 매각 등등 고인 명의로 되어 있다면 모두 계약 해지를 해야한다.
만약에 안심상속 원스톱 서비스를 통해 금융 거래 내역을 조회하면 고인의 모든 계좌가 정지 되므로 사전에 확인을 미리 하는 것이 좋다고..
국민 연금 가입자가 보험료를 불입하는 중에 사망 또는 노령연금을 수령하는 중에 사망시 지급하는 것이 유족연금.
(이것도 들어보니 최대 1300만원 까진가 밖에 안준다고 하더라..ㅠㅠ )
암튼 유족은 1순위가 배우자, 2순위가 자녀.
서류들을 준비해서 사망일로 부터 5년 이내에 국민연금공단에서 신청 하면 된다
출처 : https://m.bboom.naver.com/board/get?boardNo=9&postNo=4070355&entr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