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의 향토음식, 참게탕
참게탕은 경상남도 하동군 일대의 섬진강에서 잡아 올린 참게에 토란대와 무, 미나리 등을 넣고 된장을 풀어 끓인 하동군의 향토음식이야
참게는 전국의 하천에서 서식했지만 현재는 1급수의 수질을 유지하고 있는 섬진강에서만 서식하고 있어
섬진강은 수질이 좋은 하천으로 봄에는 은어, 가을에는 참게가 잡혀
은어는 회와 튀김으로 먹고 또 인터넷에서 밈으로 유명한 은어밥등이 있어
그런데 은어는 가시가 많아 뼈에 걸리기 딱좋아
은어튀김을 꼬리부터 먹으면 가시가 걸리지 않는다고 하는데..진짠지는 모르겠다
살이 차지고 향긋한 섬진강 참게를 탕으로 끓일 때는 들깻물과 된장을 넣어
참게딱지에 밥까지 비벼 먹으면 다이어트의 적이 되지
참게맛을 알게 되면 대게는 심심해서 못 먹게 된다는 말이 있을 정도야
단풍이 드는 가을이 되면 참게는 산란을 위해 살이 통통하게 오르는데,
“서리 내릴 무렵 참게는 소 한 마리가 와도 바꾸지 않는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가을철 참게는 맛이 가장 좋다고해
정약전이 흑산도 유배지에서 저술한 『자산어보(玆山魚譜)』에도 참게의 맛이 ‘매우 좋다.’라고 기록하고 있을 정도니 할말 다했지?
또한 참게로 장을 담구기도 하는데,
아무래도 민물게이니 위험할수 있으니 먹는걸 권하진 않긴해
요즘의 참게는 보기 힘든 귀한 몸이 되었어
아마도 수질오염으로 인한 환경변화와 남획으로 인하여 개체 수가 줄어든 것이 감소요인으로 작용하였을 거라고 추측해
그러나 경상남도 하동군을 감싸고 흐르는 섬진강은 전국의 강(江) 중에서 1급수의 수질을 유지하는 거의 유일한 대형 하천이야
섬진강은 1급수에만 서식하는 참게뿐만 아니라 재첩, 다슬기, 은어, 벚굴 등을 볼 수 있는 천혜의 청정지역을 유지하고 있고
동시에 재첩국, 다슬기국, 은어, 벚굴등등 섬진강에서만 맛볼수 있는 다양하고 맛좋은 향토 음식들을 제공하므로
제철마다 근처에 지나갈일이 있으면 한번씩 들러서 맛보기를 권유해